이 글은 스터디를 진행하며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김영한)'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1. 모든 것이 HTTPHTTP란?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이다. HTML 등 링크를 통해 연결할 수 있는 문서(hypertext)를 전송하는 프로토콜로 시작하였다. 하지만 지금은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HTTP 프로토콜에 담아서 전송을 한다. HTML 텍스트 뿐만 아니라 이미지, 음성, 영상, 파일 그리고 서버끼리 통신할 때 사용하는 JSON, XML 등 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다 전송할 수 있다. HTTP 역사HTTP/0.9 1991년: GET 메서드만 지원, HTTP 헤더X HTTP/1.0 1996년: 메서드, 헤더 추가 HTTP/1.1 1997..
이 글은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김영한)'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1. URIURI란 Uniform Resource Identifier의 약자로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합된 방법을 뜻한다. 리소소를 식별한다, 사람들이 주민번호로 식별할 수 있듯이 자원의 자체를 식별하는 방법이라는 뜻이다.URI의 각 단어 뜻 부터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Unifrom : 리소스 식별하는 통일된 방식Resource : 자원, URI로 식별할 수 있는 모든 것 (HTML 파일 뿐만 아니라, 실시간 교통정보 등 구분할 수 있는 모든 것)Identifier : 식별자, 다른 항목과 구분하는데 필요한 정보 URI로는 URL, URN이 포함된다."URI는 로케이터(Locator), 이름(Name) 또는 둘 ..
이 글은 스터디를 진행하며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김영한)'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 1. 인터넷 통신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붙어있다면, 별문제 없이 요청과 응답을 주고받으면 될 것이다. 하지만,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붙어있는 경우는 대개 없으며 대부분 인터넷을 거쳐 통신을 한다. 이 경우, 인터넷 망을 통해 서버로 요청을 보내야 하는데, 인터넷의 수많은 노드들을 타면서 원하는 목적지까지 메시지가 전달되며 통신하게 된다. 복잡한 인터넷 망을 어떻게 지나가야 메시지가 안전하게 전달되는지에 대해서는 먼저 IP(Internet Protocol)에 대해 이해해야 한다. 2. IP(인터넷 프로토콜)먼저 강의를 듣다보니 프로토콜(Protocol)이라는 단어에 대해 개념 정리가 필요했다. 프..
이 글은 스터디를 진행하며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김영한)'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 스프링이란? - 자바 언어 기반의 프레임워크 - 자바 언어의 가장 큰 특징 - 객체 지향 언어 - 객체 지향 언어가 가진 강력한 특징을 살려내는 프레임워크 - 좋은 객체 지향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프레임워크 스프링 프레임워크 - 핵심 기술: 스프링 DI 컨테이너, AOP, 이벤트, 기타 - 웹 기술: 스프링 MVC, 스프링 WebFlux - 데이터 접근 기술: 트랜잭션, JDBC, ORM 지원, XML - 기술 통합: 캐시, 이메일, 원격접근, 스케줄링 - 테스트: 스프링 기반 테스트 지원 - 언어: 코틀린, 그루비 - 최근에는 스프링 부트를 통해서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기술들을 편리하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