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탐색이란? 말그대로, 무식한 방법으로 알고리즘 문제를 푸는 방법, Brute Force이는 알고리즘 풀이의 근본이며, 시작이라고 한다. Python의 경우 1초에 약 1억번의 연산이 가능하다. 조건을 고민하고, 컴퓨터를 위해 생각하고또, 컴퓨터를 배려하고..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물론 나중에 비지니스와 연결됐을때의 문제는 다른 얘기지만단순하게 메모리, 시간이 넉넉하다면 무식하게 풀어도 상관없다는 것. 나처럼 야매로 풀다가 알고리즘을 제대로 배우기 시작한 뉴비들은완전탐색을 이용하면 for문과 if문만 알아도 문제가 풀리는 신기한 경험을 해볼 수 있었다. 아래는 이번에 풀어본 예제들이다. 문제 1. 백준 #19532 접근 : 입력값도 6개에 정수 범위도 있고.. 음..고민하지 말고 문제가 알려준..
3-1 // 문자열 my_string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 my_string을 거꾸로 뒤집은 문자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출 답안 public class cote3_1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my_string) { String answer = ""; for (int i=my_string.length()-1; i>=0; i--) { answer += my_string.charAt(i); } return answer; } } my_string의 문자열을 뒤에서부터 새로 값을 정하기 위해 for문을 사용하여 legth-1(마지막인덱스번호) 부터 1씩 index 0까지 줄여가면서 각 index에 해당하는 my_string의 문자열의..
# 1 문제설명 정수 num1과 num2가 주어질 때, num1과 num2의 합을 return하도록 soltu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답안 -> 정답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um1, int num2) { int answer = num1 + num2; return answer; } } #2 문제 설명 정수 num1과 num2가 주어질 때, num1에서 num2를 뺀 값을 return하도록 soltu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답안 -> 정답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um1, int num2) { int answer = num1 - num2; return answer; } } #3 문제 설명 정수 n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