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 tools
옵시디언(Obsidian)! 마크다운 형식으로 메모장도 쓰고 깃허브 잔디도 심고!
chillmyh
2025. 1. 3. 16:13
0. 들어가며
원래 맥을 쓸때는 베어라는 메모앱을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개발환경을 윈도우로 변경하면서 베어를 사용할 수 없게되었다. 베어 사용 당시에도 알았던 앱인데, 윈도우에서는 베어를 대체하면서도 깃허브 잔디 날먹이 가능해서 최근에 틈틈히 다시 사용하고있다. 바로, 옵시디언(Obsidian)이다!
1. 옵시디언이 뭔데? 뭐가좋음?
옵시디언은 마크다운 방식의 로컬기반으로 작동하는 노트 앱이다. 그래서 이게 뭔데 뭐가 좋은지 알아보자.
- 로컬기반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앱의 동작이 매우 빠르다. 네트워크의 영향을 안 받기 때문
- 노트앱 내 검색기능이 잘 구현되어있다.
제목, 본문내용 뿐만아니라 폴더 경로, 속성, 태그, 체크리스트, 소제목 등으로도 검색 가능하다.
AND, OR 등 연산자로 여러 검색 요소를 중첩하거나 마이너스 부호로 특정 키워드를 제외한 검색도 지원한다. - vscode, intelliJ 사용하는것처럼 커뮤니티 플러그인 설치로 확장성이 매우 뛰어나다.
- 테마를 따로 설정해서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
- 잔디 심기에 강박있는 사람에게 잔디 날먹이 가능하다.
2. 사용법! 깃허브 연동까지
2-1. 설치
Obsidian 다운로드 및 설치 - Obsidian Help - Obsidian Publish
이 페이지는 Obsidian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하는 모든 지원되는 방법을 나열합니다. Install Obsidian on Windows 1. 브라우저를 열고 Download Obsidian로 이동하세요. Windows 섹션 아래에서 64비트 설치 파일을
publish.obsidian.md
2-2. 깃허브 연동
1) Create new vault 를 해서 옵시디언 폴더를 생성
2) 해당 폴더를 터미널로 열고 아래와 같이 진행
git init # 깃 초기화 - .git 디렉토리 생성
git config credential.helper "인증 사용"
git add . # 현재 존재하는 모든 폴더를 Stage에 추가
git commit -m "first commit" # Stage에 등록된 파일 및 폴더들을 커밋
git branch -M main # main 브랜치를 마스터 브랜치로 설정
git remote add origin "깃허브 주소" # 원격 저장소 주소 등록
git push -u origin main # main 브랜치로 푸쉬
3) 커뮤니티 플러그인에서 Git 플러그인 설치
4) git 플러그인 설정
왼쪽아래 톱니 > community plugins > 설치된 플러그인 활성화
원하는 주기로 자동커밋, 푸시 되도록 세팅!
이제 무료 요금제 노션의 압박과 불편한 윈도우 기본 노트앱을 벗어나
옵시디언으로 마크다운형식 메모와 잔디날먹이 가능하다.